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OT

2020년 IoT 엔트포인트 58억 개…가트너, IoT 2018-2020 시장 예측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인터넷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다. 모든 곳에 모든 것에 모든 때에, 인터넷이 연결되는 세상이 되는 방향으로, 인터넷은 발전하고 변신하며 진화하고 있다. IoT라는 용어가 일반 대중에게 알려진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미 IoT는 세상과 사람들 속에서,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을 형성하며 빠른 속도로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가트너가 이러한 IoT의 성장세를 가늠해 볼 수 있는 ‘IoT 시장을 위한 시나리오, 2019(Scenarios for the IoT Marketplace, 2019)’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엔터프라이즈 및 자동차 관련 IoT 시장이, 2019년과 비교할 때 21% 증가한 58억 개의 엔드포인트로 성장할 .. 2019. 9. 4. 더보기
무전원 수중 IoT 통신 기술...MIT, 배터리 필요없는 수중 센서 개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머리와 몸통이라면,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감각기관에 비유할 수 있다. 시각, 청각, 미각, 촉각, 통각이 수집하고 전달한 수많은 감각 정보가 없다면, 생각하고 느끼고 판단해야 할 필요나 이유가 없어진다.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의 그늘에 가려 존재감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지만,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주인공 중에 하나다. MIT 연구팀이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지경을 더욱더 넓게 확장할 수 있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와 센서로 구성된 통신 기술을 개발했다. 호수, 강, 바다와 같은 곳에서 수중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전원 통신 시스템이라는 것.. 2019. 8. 22. 더보기
어느 곳에 있든 실시간 위치추적…버라이즌, 스마트 로케이터 서비스 출시 미국 버라이즌이 사물인터넷(IoT) 기반 위치추적 서비스인, ‘스마트 로케이터(Smart Locator) 서비스를 출시했다. 스마트 로케이터는 실내외 상관없이 블루투스, GPS, 무선랜 기반의 위치 확인과 LTE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CAT-M1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스마트 로케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치정보를 확인해서 송신하는 ‘스마트 로케이터 허브’라는 단말기와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스마트 로케이터 허브 앱’이 필요하다. 타원형으로 생긴 스마트 로케이터 허브는 3.5x5cm의 타원형 단말기로, 전용 클립이나 고리를 이용해 위치추적이 필요한 곳에 설치한다. 애완동물, 어린아이, 자전거, 바이크, 여행용 가방 등 위치 추적이 필요한 다양한 대상이나 사물에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 2019. 6. 17. 더보기
인텔 & ARM, 애플리케이션 & 프레임워크 독립적인, IoT 디바이스 온보드 솔루션 제공 인텔과 ARM이 양사의 IoT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이나 클라우드 프레임워크 종류에 상관없이 안전하게 온보드(onboard) 할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양사는 모든 디바이스 및 클라우드 보안 연결을 위한 IoT 비전을 공유하며, IoT 디바이스 생태계 통합과 다이내믹 단일 프로비저닝 모델 활성화할 계획이다. 인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그룹 담당 부사장 겸 사물인터넷 보안 담당 제너털 매니저인 로리 위글은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리포트를 공개했다. 다음은 로리 위글이 작성한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과 IoT 디바이스에 대한 기존의 매뉴얼 방식 온보드 처리과정의 어려움, 그리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협업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초기 개념증.. 2018. 10. 18. 더보기
웨어러블 &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사용자 정보 유출에 무방비! 스마트 워치, 스마크 글래스, 스마트 기어 등 이른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새로운 트렌드로 주목 받고 있다.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모든 것은 네트워크로 연결한다는 사물인터넷(IoT)도 뜨거운 화두다. 이러한 가운데 보안솔루션 전문업체인 시만텍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보안 취약점과 위험성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는 한 마디로 '무방비'와 '불감증'이 심각한 수준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사물인터넷 장치에는 사용자의 움직임, 위치, 속도, 심박수 등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자가 측정(Quantified Self) 데이터는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스마트폰에 연결된 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알려준다. 별것 아닌 것처럼.. 2014. 8. 6. 더보기
2014년에는 모바일과 사물인터넷에 대한 보안위협 증가 온라인 익명성이 보장되는 토르*(Tor; The Onion Router) 소프트웨어의 확산, 급증하는 신생 소셜 미디어에 대한 사이버 공격 증가. 사물 인터넷에 대한 보안 취약성 대두, 모바일 앱에 대한 안전 불감증으로 보안 위협 증가. 시만텍(www.symantec.co.kr)이 시만텍이 방대한 보안위협 데이터 분석과 자사의 보안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한 '2014 보안 트렌드 및 위협 요소'를 발표했다. 특히 2014년에는 사이버 환경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BYOD(Bring Your Own Device) 트렌드가 지속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기존과 다른 새로운 보안위협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시만텍은 밝혔다. 이에따라 다양한 보안위협으로부터 사생활, 개인정보.. 2013. 11. 26.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