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IME

[時] 그때는 몰랐고, 지금도 모른다. 돌아갈 수 있어도 소용은 없다 그때는 몰랐다. 아무것도 몰랐고, 까마득하게 몰랐다. 이렇게 길어질 줄, 그리고 이렇게 갇히게 될 줄, 결코 알 수 없었다. 의지만 있다면 병(病)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는 인간적인 신념은 화석이 됐고, 희망만 있다면 언젠가 그 희망이 현실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거품이 됐다. 신념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고, 희망은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더라. 당해보니까, 그렇고. 살아보니까, 또 그렇다. 빼앗기는 것이다. 신념도 빼앗기고, 희망도 빼앗긴다. 그것을 지키는 것이 혼자서는 불가능했다는 것을, 그것들이 사라지는 순간 혼자서 알게 된다. 그것을 알게 되는 순간, ‘사람’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허술한지, ‘시간’이라는 괴물이 얼마나 무서운지, 지식이 아닌 감각으로 느끼게 된다. 시간에게 빼앗기는 것이 무엇이 .. 2020. 10. 17. 더보기
[詩] 버린다는 것, 버림받았다는 것 수인선 철도가 있었다. 수원에서 인천, 정확하게는 수원과 송도를 오갔다. 폭이 좁은 협궤열차였다. 1937년 3월 1일 기차가 처음 달렸다. 1995년 12월 31일 기차는 달리는 것을 멈췄다. 철로의 폭이 좁으니, 기차의 폭도 좁았다. 양쪽 자리에 앉아 팔을 뻗으면, 앞에 앉은 사람과 손을 잡을 수 있었다. 감성의 편에서 보면 낭만이 있었고, 감정의 편에서 보면 불편했다. 그 기차가 지나는 곳에 소래포구가 있다. 기차가 달리는 것을 멈췄어도, 한동안 철로는 완전히 끊기지 않았다. 군데군데 살아남아서 검붉은 녹을 입으며 나이를 먹어 갔다. 2003년 그렇게 세월을 몸으로 견디고 있는, 협궤열차의 한 자락을 찾아 소래포구를 찾았었다. 철로가 지나던 다리를 기차 대신 사람이 건너다녔다. 협궤가 놓인 다리는 .. 2019. 6. 25. 더보기

반응형